
이번에는 삼성전자의 3 나노 파운드리 공정과 엔비디아의 차세대 GPU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3 나노 공정을 양산하기 시작했는데, 이 공정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고, 엔비디아의 GPU 수주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3나노 공정이란?
3 나노 공정이란, 반도체 제조 공정 가운데 가장 앞선 기술로, 반도체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크기가 3 나노미터(10억 분의 1미터) 정도인 것을 말합니다. 삼성전자는 이 공정에 차세대 트랜지스터 구조인 GAA(Gate-All-Around) 기술을 세계 최초로 적용했습니다. GAA 기술은 트랜지스터에서 전류가 흐르는 채널을 게이트가 네 면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기존의 핀펫(FinFET) 구조보다 전력 효율과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기술입니다.
삼성전자, 세계 최초 3나노 파운드리 양산 | 삼성반도체 (samsung.com)
삼성전자, 세계 최초 3나노 파운드리 양산 | 삼성반도체
삼성 전자는 세계 최초로 GAA 기술을 적용한 3나노 파운드리 공정 기반의 초도 양산을 시작했으며 이는 반도체 제조 공정 가운데 가장 앞선 기술이고 전세계 파운드리 업체 중 삼성전자가 유일합
semiconductor.samsung.com
삼성전자는 GAA 기술 중에서도 채널을 얇고 넓은 모양의 나노시트(Nanosheet) 형태로 구현한 독자적인 MBCFET(Multi-Bridge 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 구조를 사용했습니다. 나노시트의 폭을 조정하면서 채널의 크기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전류를 더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고성능·저전력 반도체 설계에 큰 장점이 있습니다.
HT042가 들어간 키성장영양제를 이 가격에? 말도 안되지만 월 8만원!!
키성장제품, 왜 이렇게 비쌀까요? 왜 꼭 1년치를 한꺼번에 사야 할까요? 그래서 광동에서 준비했습니다. 무료체험 혜택과 67% 할인 혜택을 모두 받아가세요! 키성장제품만 20년! 광동제약 키앤지
iryan.kr
3나노 공정의 장점은?
삼성전자는 3나노 공정의 장점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3 나노 GAA 1세대 공정은 기존 5나노 핀펫 공정과 비교해 전력 45% 절감, 성능 23% 향상, 면적 16% 축소되었고, 이어 GAA 2세대 공정은 전력 50% 절감, 성능 30% 향상, 면적 35% 축소된다고 합니다. 이런 장점은 고성능 컴퓨팅(HPC)용 시스템 반도체나 모바일 SoC(System on Chip) 등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 GPU 수주 가능성은?
엔비디아는 현재 그래픽 처리 장치(GPU)의 세계 최대 제조사로, 게임이나 인공지능(AI) 등에 필요한 고성능 GPU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내년에 공개할 차세대 GPU 지포스 RTX40 시리즈의 디자인 설계를 진행 중인데, 이 GPU를 어느 파운드리에 맡길지가 관심사입니다.
삼성전자 3나노 초미세공정 첫 고객 AMD·퀄컴 유력 - 조선비즈 (chosun.com)
삼성전자 3나노 초미세공정 첫 고객 AMD·퀄컴 유력
삼성전자 3나노 초미세공정 첫 고객 AMD·퀄컴 유력 AMD-퀄컴, 애플 우대 TSMC에 불만 5㎚ 이하 공정 삼성에 맡길 가능성 AMD-퀄컴, 삼성전자와 친밀도 높이는 중 TSMC-애플 대항하는 신동맹 결성하는
biz.chosun.com
엔비디아는 지난해부터 삼성전자와 TSMC(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사이에서 저울질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지난해 발표한 지포스 RTX30 시리즈의 일부를 삼성전자의 8 나노 공정에 맡겼고, 일부를 TSMC의 7나노 공정에 맡겼습니다. 엔비디아는 이렇게 두 파운드리를 번갈아가며 사용하는 전략을 통해 공급 안정성을 확보하고, 가격 경쟁력을 높이려고 했습니다.
엔비디아, 차세대 GPU, 삼성 아닌 TSMC 생산 저울질…“안정적 공급 우선” - 조선비즈 (chosun.com)
엔비디아, 차세대 GPU, 삼성 아닌 TSMC 생산 저울질…“안정적 공급 우선”
엔비디아, 차세대 GPU, 삼성 아닌 TSMC 생산 저울질안정적 공급 우선 GPU 시장 점유율 80%의 압도적 1위 엔비디아 5나노 공정서 차세대 GPU 생산 내년 말 출시 앞두고 파운드리 수주 경쟁
biz.chosun.com
그러나 삼성전자의 3나노 공정이 세계 최초로 양산에 들어가면서, 엔비디아의 파운드리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3 나노 공정은 TSMC의 3나노 공정보다 수개월 앞선 것으로, 반도체 업계는 이런 선도적인 움직임이 고객 유치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삼성전자는 GAA 기술을 3 나노 공정에 업계 최초로 활용하는 반면, TSMC는 3나노에 핀펫 구조를 그대로 쓰는데, 이 경우 삼성전자의 3나노 공정이 TSMC의 3나노 공정보다 성능과 전력 효율 면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이미 그래픽 처리 장치(GPU) 대부분을 삼성전자에 맡기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삼성전자와의 관계도 좋은 편입니다. 엔비디아는 삼성전자와 협력하여 자동차용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으며, 삼성전자가 생산하는 메모리 반도체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삼성전자의 3 나노 공정을 통해 차세대 GPU의 성능과 전력 효율을 높이고, 공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SK케미칼 유튜브 채널 감상평 남기기 이벤트
SK케미칼 사옥 내부에 미션을 성공하기 위해 고군분투 하며 100% 바이오 기반 소재 PO3G에 대해 알아가는 두 매니저의 역대급 대유잼 케미! 미션 달성에 따라 구독자 이벤트 경품이 달라진다!? 영상
iryan.kr
결론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3나노 파운드리 공정을 양산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공정은 차세대 트랜지스터 구조인 GAA 기술을 적용한 것으로, 기존의 핀펫 구조보다 전력 효율과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기술입니다. 이 공정은 엔비디아의 차세대 GPU 수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현재 삼성전자와 TSMC 사이에서 저울질을 하고 있는데, 삼성전자의 3나노3 나노 공정이 TSMC의 3 나노 공정보다 성능과 전력 효율 면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이미 삼성전자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의 3나노 공정을 통해 차세대 GPU의 성능과 전력 효율을 높이고, 공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2023.09.20 - [2024년 가장 주목받을 트렌드 TOP10] - TSMC와 삼성전자! 반도체 3 나노 공정 개발 경쟁은?
TSMC와 삼성전자! 반도체 3나노 공정 개발 경쟁은?
반도체 시장은 3나노 공정의 도입으로 급변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의 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TSMC와 삼성전자는 각각 다른 기술을 적용한 3나노 공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TSMC는 핀펫 기반의
chunweb21.tistory.com
2023.09.13 - [2024년 가장 주목받을 트렌드 TOP10] - 삼성전자 갤럭시 S24! 생산 및 출시 시기는?
삼성전자 갤럭시 S24! 생산 및 출시 시기는?
삼성전자 갤럭시 S24 생산 및 출시 시기오늘은 여러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삼성전자 갤럭시 S24의 생산 및 출시 시기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삼성전자 갤럭시 S24는 삼성전자의 최신 플래그십 스
chunweb21.tistory.com
2023.09.13 - [2024년 가장 주목받을 트렌드 TOP10] - 삼성전자 스마트링 출시 시기 임박?
삼성전자 스마트링 출시 시기 임박?
삼성전자는 스마트링을 개발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어보셨나요? 스마트링은 손가락에 착용하는 작은 반지 형태의 기기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연동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chunweb21.tistory.com
'2024년 가장 주목받을 트렌드 TOP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로 세계 1위 탈환할까? (83) | 2023.09.22 |
---|---|
아이폰 15 프로의 발열 문제, TSMC 3 나노 공정의 한계인가? (76) | 2023.09.22 |
아이폰 15 가격이 얼만데.. 티타늄 변색? (55) | 2023.09.20 |
TSMC와 삼성전자! 반도체 3나노 공정 개발 경쟁은? (107) | 2023.09.20 |
과기정통부의 2024년 연구개발(R&D) 예산 삭감에 대한 파급효과는? (126) | 2023.09.18 |